황야 리뷰
황야
액션영화
107분
넷플릭스
2024.01.26. 오픈
마동석, 이희준, 이준영, 노정의, 안지혜
행복한 금요일에 치킨과 함께 봤다.
짧은 시간에 많은 걸 보여주기 위해
생략된 장면이 많은 것 같다.
초반에 아픈 딸에게 약물을 주입하려는 이희준
그와 동시에 큰 지진이 발생해 세상이 망한다.
폐허가된 지구에 살아남은 사람들
먹을 수 있는것과 없는 것으로 나뉜다.
비가 오지 않는 가뭄으로 물이 어떤
것보다 소중해진 세상
그런 세상에서 마동석은 사냥꾼으로
살아남는다.
자기 몸집만한 악어를 칼로 목을 한 번에
쳐서 떨어지게 만드는가 하면
무지막지한 힘으로 가족을 보호하기도 한다.
어느 아파트에 물이 많이 있고
그곳은 낙원과도 같다는 소문이 돈다.
그곳에서 마동석이 딸처럼 생각하는
수나를 데려간다. 행복하게 살 줄 알았는데
아이의 보호자 할머니를 죽이는 장면을 목격해 버리는데
그 길로 마동석 이준영은 수나를 찾아 떠난다.
무작정 찾아가려는 두 사람 앞에
아파트에 대해서 잘 알고 있는 한 사람이 나타난다.
아파트에서 벌어지는 실험을 반대하던 군인이
나타나 자신의 동료를 구해달라고 부탁한다.
각자의 목적을 가지고 함께 아파트로 향하는데
생각보다 경비가 삼엄한 곳을 뚫고
들어가기 어렵자 차로 밀어버린다.
아파트에 도착한 후 이상함을 눈치챈 수나는
그들이 주는 물과 음식을 먹지 않는다.
이상한 진화 관련 교육을 받는데
반감이 들고 실험실에 몰래 숨어들었다.
이희준이 하는 끔찍한 실험을 알게 된다.
10대 아이들에게 집착하는 이유가 있었다.
다쳐도 다리가 떨어져도 회복하는 능력
그 약을 만드는 물질이 바로 아이들이었다.
아이들의 몸속에서 그 물질을 추출해
이 끔찍하고 이상한 작은 세상이 돌아가고 있었다.
이희준을 마치 신처럼 받들고 찬양했다.
독재시대의 세상을 보는 기분이었다.
숨어있던 수나가 이희준에게 들키고
수나의 몸속에서도 약을 추출하기 위해
사지를 결박하는데
마동석과 이준영 그리고 군인은
동료들을 구하러 가지만 이미
그들은 괴물로 변해버린 뒤였다.
이희준의 실험에 쓰이고 버려진 것 같았다.
이희준의 실험을 맹신하는 군인과 싸우는 여군,
그리고 마동석
아파트에 총소리가 울려 퍼지고
사람들은 이상함을 눈치챈다.
아이들을 챙겨라는 외침에
자식을 찾기 위해 움직이는 부모들
이희준은 수나의 몸에서 추출한 물질을
투약하는데 뭔가 이상하다.
점점 괴물로 변하는 이희준
바로 수나가 약이 든 물을 먹지 않아
농도가 적합하지 않게 된 것이다.
농도에 따라 괜찮기도 하고
괴물화가 진행되는 것이다.
점점 도마뱀처럼 변하는 이희준
사람들은 그 모습에 경악한다.
사실 이희준은 자신의 딸을 살리기 위해
이 끔찍한 실험을 강행하고 있던 것이다.
팔다리가 없고 심장만 뛰는 물속에 갇힌 아이
그게 바로 이희준의 딸이다.
부모가 자식을 위해 얼마나 망가질 수 있는지
단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었다.
그렇게라도 살리고 싶은 딸
이희준까지 처리하고 그렇게
낙원이라 불리던 아파트는 사라진다.
다시 폐허가 된 곳으로 돌아간 그들은
그 안에 세상에서 살아간다.
낯이 익은 배경에 아파트!
콘크리트 유토피아의 세트장이었다.
비슷한 설정이다. 지진으로 망해버린 세상
살아남은 사람들 그리고 무너지지 않은 아파트
다른 맥락으로 보여주는 이야기
하나는 자식을 향한 잘못된 사랑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독재와
인류애가 상실한 사람들의 이야기
둘 다 나쁘지 않게 봤다.
평점이 후한 작품들은 아니지만
감독이 보여주고 싶은 내용은
이해할 수 있는 작품이 난 좋다.
다 보고 나서도 대체 감독이 뭘 이야기하고 싶은지
전혀 감도 오지 않는 작품도 있다.
그런 심오한 작품을 선호하지 않는다.
난 권선징악이 명확하고
결말이 정확한 이야기를 좋아한다.
요즘 열린 결말과 해석의 자유를 추구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이런 영화를 보는 것의
목적이 난 힐링과 쉼이다.
골치 아픈 생각보다는 직관적인 작품을
좋아하는 건 어쩔 수 없는 성격인가 보다.
그럼 이만 춍춍